1. GPT, 그냥 쓰는 것과 지침과 파일로 쓰는 것의 차이는 점점 극대화 됩니다.
AI는 이미 똑똑합니다. 생성형 AI는 이미 GPT, 제미나이, 클로드 등 다양하게 존재하죠. 저는 그중 가장 대중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GPT를 기준으로 다이어트관련 질의를 GPT에게 할때 어떻게 사용하는지를 공개하여 더 효율적으로 쓰는 방법을 소소하게나마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일반 GPT의 경우 “다이어트 식단 추천해줘”라고만 해도, 금세 샐러드·닭가슴살·과일 같은 전형적인 답을 내놓죠. 하지만 이런 답은 누구에게나 똑같고, 실제 생활에 맞춰 적용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래서 저는 GPT 지침과 파일 활용법, AI 답변을 내 스타일로 바꾸는 법을 실험했습니다. 주제는 다이어트였고, 준비한 방법은 두 가지입니다.

- 다이어트 전략문서: 목표·핵심 원칙·식단 전략 정리
- 다이어트 지침 프롬프트: AI 답변 규칙과 출력 형식까지 명확히 지정
2.그냥 GPT를 썼을 때 👉 일반론에 머무는 답변
GPT : 좋은 질문이에요! 다이어트를 시작할 때는 누구나 따라 하기 쉬운 기본 식단이 도움이 됩니다.
아침: 샐러드, 삶은 달걀
점심: 현미밥, 닭가슴살
저녁: 과일
이런 식단은 무난하고 많은 분들에게 적용 가능합니다.
다만 아직 질문자님의 생활 패턴이나 목표는 반영되지 않았기 때문에, 맞춤형이라고 보긴 어렵습니다.
👉 누구에게나 적용 가능한 기본 다이어트 식단, 하지만 제 생활 패턴이나 구체적 목표는 반영되지 않았습니다.
3. 지침과 파일을 적용했을 때 👉 개인 코치로 변신
GPT : 좋습니다! 목표가 “3개월 안에 체중 -5%”이고, 점심은 회사 근처에서 해결해야 한다는 조건을 반영해 맞춤형 플랜을 드릴게요.
✅ 단기(1~3개월): 현재 체중에서 5% 감량 + 생활습관 교정
- 아침(15분 내 준비 가능): 그릭요거트 + 단백질 파우더 + 견과류
- 점심(외식 기준): 일반 식당에서는 닭가슴살 덮밥이나 구이 위주 선택
- 저녁: 연어구이 + 찐 채소 + 현미밥 소량
📌 중기(3~6개월): 체지방률 조정 + 근육량 유지/증가
- 주 3회 근력운동 병행
- 단백질 1.2~1.5g/체중(kg) 섭취
🌀 장기(6개월~1년): 건강검진 지표 정상화 + 습관 정착
- 폭식 방지 루틴 확립
- 스트레스 관리(7시간 이상 수면 필수)
💡 대안/보완책:
- 회식 시 → 튀김 대신 구이, 맥주 대신 탄산수
- 시간이 부족하면 → 계단 오르기·스트레칭으로 대체
🍎 식단 규칙: 하루 3끼 + 간식 1회, 일정한 시간 유지
💪 운동: 유산소 + 근력운동 병행
😴 수면: 7시간 이상 확보
⚠️ 주의: 야식·과음·과당 음료 금지
✔ 실행/검증: 주 1회 체중 기록 + 4주 단위 체지방률 점검
👉 구체적인 목표를 파일로 만들어 추가하고 지침을 설정해주자, GPT가 일반론에 머무르지 않고 “나만의 커스텀 다이어트 코치”로 작동하기 시작한 것을 확인해볼 수 있었습니다.
4. 실제 파일과 지침을 대입하는 장면

▲ 목표와 원칙을 정리한 전략문서(해당 내용은 .md, .txt등 파일로 만들어 파일 추가 버튼을 누르고 드래그해서 넣으면 됩니다.)

▲ AI가 반드시 따라야 할 답변 규칙과 출력 형식을 담은 지침(해당 지침을 넣으면 GPT가 해당 프로젝트 내에서는 해당 지침을 우선시 고려한뒤 답변을 내놓게 됩니다.)
이 두 가지를 더했을 때, GPT는 단순 지식 전달이 아니라 실행 중심의 조언자로 변했습니다.
5.결론: 지침은 AI를 내 편으로 만드는 열쇠
👉 AI는 그냥 활용해도 분명 편리합니다. 하지만 내 기준과 규칙을 지침으로 더하면, 같은 AI가 전혀 다른 결과를 보여줍니다. 즉, 같은 질문이라도 내가 원하는 방식과 목적에 맞춰 글이 재구성되는 것이죠.
👉 이번 글에서는 다이어트를 사례로 보여드렸지만, 공부 계획·업무 관리·재무 습관 등 어디에든 확장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사소한 노하우일지라도 점점 습득한다면 정말 같은 시간에 남들보다 더 월등한 결과를 얻게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지침은 일종의 ‘안내판’이자 ‘가드레일’ 역할을 합니다.
👉 앞으로 여러분도 AI를 사용할 때, 단순 실행이 아닌 나만의 파일과 지침을 세워보면 전혀 다른 차원을 경험하게 될 겁니다.